본문 바로가기

돈버는 방법은

인플레이션, 디플레이션, 스태그플레이션의 투자 전략

인플레이션, 디플레이션, 스태그플레이션에 따른 투자 전략을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일단 각각의 개념을 짧게 설명하도록 하겠습니다. 

 

<통화량>

통화량이란 시장에 유통되는 돈의 양을 말합니다. 즉, 통화량이 늘면 돈의 가치가 떨어지고, 물가도 올라가게 됩니다. 

반대로 통화량이 줄면 돈의 가치가 높아지고 물가는 내려가게 됩니다. 

 

금본위 시대의 화폐는 화폐 스스로가 가치를 가지고 있었습니다. 왜냐하면 중앙은행이 통화량과 같은 금을 보유하고 있고, 화폐를 가져오면 일정 비율을 금으로 바꿔주는 제도이기 때문입니다. 그런데 지금의 화폐는 스스로 가치를 가지지 못합니다. 그냥 종이 쪼가리에 불과할 뿐입니다. 그럼에도 각국의 중앙은행은 그런 가치를 따지지 않고 화폐를 발행합니다. 이 화폐의 가치는 우리들의 믿음이 보장해 주게 됩니다. 비록 종이에 불과하고 원료로 따지면 그만한 가치를 가지고 있지 않지만, 우리 서로가 1만 원권 지폐는 1만 원의 가치를 가지고 있다고 믿고 거래를 하는 겁니다.

우리나라의 중앙은행은 한국은행이며, 한국은행은 우리나라 전체에 존재하는 화폐를 '통화량'으로 집계하고 있습니다. 

 

<통화량의 조절>
통화량은 정부의 정책에 따라서 결정되게 됩니다. 한국은행 홈페이지에 들어가면 '물가안정, 한국은행이 국민 여러분께 드리는 약속입니다'라는 문구가 나옵니다. 하지만 물가안정만이 통화량의 조절의 목적은 아닙니다. 경제를 성장시키고 활성화시키는 것도 또 하나의 목적이 됩니다.

한국은행에서는 크게 보면 간접 규제방식과 직접 규제 방식으로 통화량을 조절할 수 있습니다.

 

중앙은행이 이자율로 통화량을 조정하는데, 이 이 자율을 기준금리라고 합니다. 통화량은 중앙은행이 발행하는 화폐(본원통화)뿐 아니라 신용 창출이라는 과정을 통해서도 생겨나게 됩니다. 신용이 창출되는 과정을 설명드리겠습니다.

개똥이가 은행에 100만 원을 예금했습니다. 은행은 개똥이의 돈을 받아서 대출을 해 주겠죠. 그렇게 되면 대출된 돈이 투자되거나 소비되어서 다른 사람의 손에 들어가게 되고, 그 사람이 또 은행에 예금을 하게 되겠지요. 그런 과정이 반복적으로 일어나면 처음에 돈의 양이 100만 원이었지만, 예금된 양은 10보다 훨씬 많아지게 되겠습니다. 이러한 과정이 신용 창출입니다. 신용창출이 얼마나 이뤄질지 결정하는 변수는 몇 가지가 있는데, 이자율이 가장 큰 영향을 미칩니다. 이자율이 높아진다면 예금하려는 사람은 늘어나지만 대출을 받을 사람이 줄어들게 되고, 신용 창출액이 줄어들게 됩니다. 반대로 이자율이 낮다면 예금하는 사람이 줄어들게 되지만 대출을 받고자 하는 사람은 늘어나게 됩니다.  

 

통화량 조절의 방법 중 하나가 바로 이 신용 창출액을 조절하는 겁니다. 예컨대 중앙은행이 시중에 풀린 돈을 줄일 경우를 볼까요? 가장 먼저 은행이 자금을 조달할 수 있는 금리를 높이면 됩니다. 은행들끼리 초단기로 돈을 빌리고 빌려줄 때 적용되는 금리를 콜금리라고 부릅니다. 그건데 콜금리가 높아지면 은행도 이자가 비싼 돈으로 장사를 해야 하니, 대출금리를 높이겠죠. 대출금리가 높아지면 사람들이 돈을 덜 빌려 쓰게 되니, 신용창출액이 줄어들게 되고, 결국 통화량이 줄어들게 되는 겁니다.

<한국은행의 기준금리>
한국은행은 기준금리 결정을 통해 콜금리 결정에 큰 영향을 미치고 있습니다. 기준금리는 7일짜리 RP(환매조건부채권)물 금리입니다. 쉽게 말해 시중은행이 한국은행에 채권을 담보로 잡히고 7일 동안 빌릴 수 있는 자금의 금리이지요.

시중은행들은 단기자금이 필요할 때, 다른 은행에서 빌리는 콜금리가 한국은행에서 빌리는 기준금리보다 높으면, 한국은행에서 돈을 빌리겠죠. 따라서 한국은행이 기준금리를 정해 놓으면, 콜금리는 기준금리 부근에서 움직이게 됩니다. 따라서 기준금리를 결정함으로써 한국은행은 은행들 간의 콜금리에 영향을 미치게 되고 통화량을 조절할 수 있는 것이죠.

인플레이션(Inflation)

인플레이션이란 물가가 전반적, 지속적으로 오르는 상황입니다. 핵심은 전반적이고, 지속적으로 오르는 것을 의미합니다. 특정 분야 물가 상승이나, 반짝 물가 상승은 인플레이션으로 보지 않습니다. 

인플레이션의 원인은 통화량 증가에 따른 화폐가치 하락입니다. 

인플레이션의 특징 인플레이션이 심해지면 초 인플레이션이 되며, 물가가 수백, 수천 퍼센트(%)씩 기형적으로 올라가는 상황이 발생됩니다. 예를 들어 1990년대 중반 ‘무너진 경제를 되살리겠다’며 미친 듯이 돈을 찍어 내다가 계란 3개가 100조에 팔리는 막장 상황에 치달았던 짐바브 웨가 대표적인 예인데, 기축통화국인 미국이나 정부의 빚 대부분을 자국민이 소화하는 일본 같은 나라에선 돈을 풀어도 부작용 없이 경제가 좋아지고, 일자리가 늘어날 수 있다는 주장이 있습니다. 현대 화폐이론이라는 것인데요 보통 MMT로 불리어집니다. 

인플레이션은 인플레이션은 경제 발전에 따른 부의 증대 과정으로 자본주의 사회에서는 당연한 과정입니다. 물가 상승은 경제발전의 증거입니다. 

 

인플레이션은 자산을 갉아먹는 재테크의 적입니다. 위험으로부터 7가지 투자 방식으로 여러분의 자산을 지켜 낼 수 있겠습니다.   
1. 물가연동 국채 : 소비자물가 상승분만큼 원금이 늘어나 인플레이션 위험을 줄일 수 있습니다. 세금은 이자 부분에만 부과되고 만기 때 물가상승률로 늘어난 원금은 비과세 됩니다. 하지만 이자 지급의 기준이 되는 표면금리가 시중은행의 예금금리보다 낮다는 점이 단점입니다. 
2. 주택 : 인플레이션을 이기는 가장 좋은 방법은 부동산 같은 실물자산을 보유하는 것이다. 
3. 주택담보대출 : 인플레이션 땐 부채도 재산입니다. 물가가 빠르게 오르며 화폐 가치가 떨어지는 것이 인플레이션이므로 부채가 있으면 부채의 실질 가치가 줄어들어 돈을 버는 효과가 생기게 됩니다.  
4. 원자재 관련 기업의 주식 : 실물자산이 가장 좋은 인플레이션 헤지 수단입니다. 실물자산 가운데 생활에 반드시 필요한 원자재를 생산하는 기업에 투자하는 것으로 인플레이션 헤지 수단이 됩니다.  
5. 고 인플레 때 더 빛나는 금 : 금은 가치를 보전해주는 가장 안전한 자산입니다. 

6. 인플레이션 방어 펀드 : 국내에서 판매되는 인플레이션 방어 펀드는 앞서 소개한 물가연동 국채에 투자하는 펀드들입니다. 
7. 채권 만기 분산 : 채권 만기를 짧게 가져가면서 인플레이션의 위험을 줄일 수 있습니다. 

 

인플레이션이 더 궁금하다면?

 

학습자료 | KDI 경제정보센터

다양하고 차별화된 경제교육 콘텐츠를 제공합니다.

eiec.kdi.re.kr

 

인플레이션은 누구 돈을 훔칠까?

인플레이션(inflation)은 소리 없는 도둑일까? 아니면 난폭한 강도일까? 카푸친 씨는 인플레이션이 보통사람들의 피땀 어린 금융저축을 훔쳐가는 비열한 도둑이라는 통념을 갖고 있다. 존 메이너드 케인즈(John Maynard Keynes)는 “통화를 타락시키는 것보다 기존의 사회 기반을 뒤집는 더 교묘하고 확실한 수단은 없다(There is no subtler, no surer means of overturning the existing basis of

terms.naver.com

디플레이션(Deflation)

디플레이션이란 물가가 전반적, 지속적으로 떨어지는 상황입니다. 인플레이션과 반대 개념이며, 전반적이고 지속적으로 떨어지는 것을 의미합니다. 특정 분야 물가 하락이나, 반짝 물가 하락은 디플레이션으로 보지 않습니다. 

디플레이션의 원인통화량 감소에 있으며, 돈이 ‘귀한 몸’이 되면서 화폐가치가 치솟고, 상대적으로 물건 가치는 떨어진 것입니다. 똑같은 돈으로 더 많은 양의 물건을 살 수 있게 됐으니 물가가 내려간 것인데 일본의 잃어버린 20년이 대표적인 장기 불황도 디플레이션 현상입니다. 

디플레이션 특징은 디플레이션과 인플레이션은 서로 반대의 상관관계입니다. 정부는 디플레이션이 예상될 때 인플레이션 정책을 쓰고, 인플레이션이 예상될 때 디플레이션 정책을 사용합니다. 시장에 돈이 부족할 때(디플레이션)는 금리를 낮추고 채권을 사들여 돈을 풀고, 많을 때(인플레이션)는 금리를 올리고 채권을 팔아 돈을 흡수하는 것입니다. 

 

디플레이션은 장기 침체이므로 아래 3가지 투자 방식으로 여러분의 자산을 지켜 낼 수 있겠습니다.

현금의 가치가 높아지는 것이므로 화폐를 가지고 있는 것이 가장 큰 투자입니다.

1. 금리가 내릴 때 이익을 보는 것은 배당주입니다. 

기업이 매분기, 매년 현금을 주주들에게 나누어 지급하기에 디플레이션 시기에 더욱 가치가 부각됩니다. 

2. 금, 원자재, 부동산, 주식 등 모든 자산군의 투자 매력이 떨어지는 이 시기에 빛나는 투자처는 임대형 부동산입니다. 

매달 계좌에 현금이 꼬박꼬박 들어오는 임대형 부동산, 디플레이션 시대에 소득 하락과 집중화 현상(일자리를 찾아 모이게 됨)으로 임대형 부동산(상가, 오피스텔)이 괜찮은 대안이 될 것입니다. 

3. 주식 중에는 리츠 상품이 좋습니다. 리츠는 부동산 간접 투자 방식으로 자산의 70% 이상을 부동산에 투자, 운용하며, 배당 가능 이익의 90%를 주주에게 배당하는 회사입니다. 

디플레이션이 더 궁금하다면?

 

좋은, 나쁜 그리고 끔직한 디플레이션 | click 경제교육 | KDI 경제정보센터

디플레이션(deflation)은 인플레이션(inflation)의 반대 개념으로, 물가가 하락하는 현상을 말한다. 인플레이션이 경제에 여러 악영향을 미친다는 것은 널리 알려진 사실이다. 그렇다면 디플레이션의 경우에는 어떨까? 디플레이션은 인플레이션에 비해 발생 빈도가 낮지만 그 폐해는 인플레이션 못지않다. 경제학자들 중에는 인플레이션보다 디플레이션의 발생을 ...

eiec.kdi.re.kr

 

이지훈의 경제이야기 (62)디플레이션

물가하락하며 경기 나빠지는 현상 소비 미뤄 경기침체 가속화되고 채무자서 채권자로 부(富) 재분배 통화정책도 어려워져 ‘위험’ 역사적으로 봤을 때 더 심각한 경제문제 징후인 경우 많아 “디플레이션이 뭐죠? 물가가 떨어지면 좋은 것 아닌가요? 그런데 왜들 그렇게 걱정하는 건가요?”

www.nongmin.com

스태그플레이션(Stagflation)

스태그플레이션이란 물가가 경기 침체에도 올라가는 것입니다. ‘스태그네이션(Stagnation, 경기 침체)’과 ‘인플레이션’을 합친 말입니다. 

스태그플레이션의 원인은 크게 2가지 이유입니다. 첫 번째는 원자재 가격 상승입니다. 원자재 값이 급등하면 불황이라도 물가가 올라갈 수밖에 없습니다. 대체재가 없기 때문인데요. 1970년대 발발했던 오일쇼크가 대표적인 예입니다. 두 번째는 초과 성장. 정부가 발표하는 잠재성장률을 뛰어넘은 것입니다. 추가 성장에 따른 인플레이션(물가 상승) 압박은 늘어나는데, 경기는 둔화세에 접어들며 물가와 경기가 따로 놀게 되는 것입니다. 

스태그플레이션의 특징은 스태그플레이션이 무서운 건 인플레이션(물가 상승)과 디플레이션(경기 침체) 성격을 동시에 지녔기 때문입니다. 경기 침체를 잡으면 물가가 상승하고, 물가를 잡으면 경기 회복이 어려워지는 딜레마에 빠지게 됩니다. 일부 경제학자는 스태그플레이션을 인플레이션의 일종(비용 인상 인플레이션)으로 해석하기도 하는데요. 비용 인상 인플레이션은 원자재 가격, 임금 인상으로 물가가 상승하는 현상입니다. 

 

스태그플레이션이 가장 투자하기 까다로운 시기입니다. 이런 상황에선 현물 비중을 늘리는 전략이 유효하다고 생각합니다. 투자 대상은 주식 비중이 높은 쪽보다 원자재와 금 등 실물자산과 연계된 상품이 유리하다고 봅니다. 과거 경험상 스태그플레이션 상황에서 주식시장과 채권은 약세였지만, 실물자산인 금과 안전자산인 달러화는 강세를 보였기 때문입니다. 

■ 스태그플레이션이 더 궁금하다면?

 

[틴틴경제] 스태그플레이션이란 무엇인가요

올해 우리 경제가 상당히 어려울 것이라고 합니다. 경제성장률은 낮아지고 물가가 크게 오르는 스태그플레이션이 올지 모른다고 걱정하는 전문가도 적지 않습니다. 1970년대를 경험한 어른들은

news.joins.com

 

[간단정리] 스태그플레이션의 개념과 가능성

1.스태그플레이션의 개념 경기 침체를 의미하는 ‘스태그네이션(Stagnation)'과 물가상승을 의미하는 ’인...

blog.naver.com

 

'돈버는 방법은' 카테고리의 다른 글

돈이란  (0) 2020.05.14
과거로 부터 배우는 교훈  (0) 2020.05.11
미래 시대의 예측  (0) 2020.05.06
통찰력(Insight)  (0) 2020.05.05
Seed Money 만들기  (0) 2020.05.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