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찰력의 사전적 정의는 “사물이나 현상을 통찰하는 능력.”이라고 되어 있습니다.
영어로 In + Sight로 안을 본다라는 의미이며, 영어 단어를 번역하면서 생긴 한자인 통찰(洞察)의 뜻을 살펴보면 ‘예리한 관찰력으로 사물을 꿰뚫어 봄’으로 풀이하고 있습니다.
즉, 통찰력이란 안을 본다는 것이고, 안을 드려다 본다는 것을 사물의 본질을 꿰뚫어 본다는 것입니다. 생각의 대상에 몰입하여 깊이 있게 뜯어볼 수 있는 힘인 것이며, 이는 투자자에게 반듯이 필요한 덕목입니다.
그럼 통찰력을 키우는 방법에 대해서 생각해 보았으면 좋겠습니다. 통찰력을 반대로 죽이는 습관은 무엇인지도 생각해 봐야겠지요.
근원을 파악해라.
문제를 잘 해결하는 사람은 근본적인 이유가 무엇인지를 찾는데 능숙한 사람입니다. 근본적인 이유를 찾으면 해결 방안은 쉽게 풀리기 때문입니다.
예를 들어 직장 내 조직에서 발생되는 문제는 크게 3가지 정도 되겠습니다.
1. 발생형 문제 : 이미 발생된 문제로, 기준에 미달, 일탈함으로써 생기는 문제입니다.
2. 탐색형 문제 : 아직 일어나지 않은, 즉 눈에 보이지 않는 문제로 현재의 상황을 개선하거나 효율을 높이기 위한 문제입니다.
3. 설정형 문제 : 앞으로 어떻게 미래 상황에 대응할지와 관련된 장래 경영 전략의 문제입니다.
크게 3가지 문제들의 형태를 이해하고, 핵심 원인을 찾고, 연결된 변화를 안다면 추출 가능한 데이터를 통해 분석과 검증할 수 있고, 그것을 통해서 문제 해결을 할 수 있습니다.
이런 과정을 통해 분석, 평가, 종합의 능력이 길러지게 됩니다.
떠오르는 생각은 반드시 기록해라.
특정 대상에 관심을 가지고 깊은 생각을 하다 보면 문득 떠오르는 생각의 파편들이 생깁니다. 이것을 기록해 두세요. 새로운 사람이나 정보를 만나는 것을 통해서도 생각의 파편들이 생기게 될 텐데 이를 꼭 기록해 두세요. 나중에 여러분의 통찰력을 업그레이드시켜 줄 것입니다.
사물을 다양한 관점에서 바라보라.
사물을 뒤집어서 생각해 보거나, 관점을 바꾸어 생각해보거나, 본인이 사물이 되거나 하는 사고 과정을 통해 다양한 생각을 할 수 있고 이를 통해서 통찰력이 길러지게 됩니다.
모방을 해라
남이 만들어 놓은 훌륭한 사고의 과정을 학습을 통해 배우고 익혀야 합니다. 학습이라는 뜻과 같이 배우고 익힘을 통해 자신의 것으로 만들면 많은 시간을 단축할 수 있습니다. 학습의 목표인 성장을 통하여 여러분의 통찰력은 커지게 됩니다.
선입견을 버려라.
사람은 자신만의 선입견을 가지고 세상을 바라보게 됩니다. 이것이 관점인데, 통찰력을 키우는데 방해가 됩니다. 왜냐하면 익숙한 정보와 절차를 통해 편하지만 새로운 것을 조합할 수 없기 때문입니다. 선입견을 버리세요.
판단은 천천히 실행은 빨리.
감정에 휩싸여 판단하지 않도록 진짜 좋은 생각이라고 하더라도 하루정도 되새기는 시간을 가져야 합니다. 감정이란 이성적인 판단을 흐리게 만들게 됩니다. 투자에 있어서도 감정에 따라 판단을 하면 후회를 하게 됩니다. 투자자는 늘 감정을 잘 다스릴 필요가 있습니다.
결정하기까지 오래 고민했고, 충분한 검토와 생각 끝에 결정을 했다면 바로 실행하는 것이 좋습니다. 무슨 일이든지 하지 말아야 할 이유는 얼마든지 찾을 수 있기 때문입니다.
자 위에 제가 제시한 것들을 다 읽어 보셨다면 통찰력이라는 것을 이해하실 수 있으실 겁니다. 이 통찰력을 기본으로 여러분이 투자하고자 하는 기업을 분석하고, 판단하고 여러 관점에서 바라보는 과정을 통해서 여러분은 성장하게 될 것이고, 통찰력은 더욱더 커져 갈 것입니다.
'돈버는 방법은' 카테고리의 다른 글
돈이란 (0) | 2020.05.14 |
---|---|
과거로 부터 배우는 교훈 (0) | 2020.05.11 |
인플레이션, 디플레이션, 스태그플레이션의 투자 전략 (0) | 2020.05.09 |
미래 시대의 예측 (0) | 2020.05.06 |
Seed Money 만들기 (0) | 2020.05.0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