돈버는 방법은/주식

지금 주식에 들어갈 타이밍인가?

체리남편(HSJ) 2020. 4. 14. 11:35

오늘은 주식에 투자해야 할 타이밍에 대해서 말씀드려 보도록 하겠습니다. 

 

여러분은 투자와 투기에 대해서 이해를 하고 계시나요?

벤저민 그레이엄이 1934년 증권분석에서 제시한 투자의 정의는 "투자란 철저한 분석을 통해 원금을 안전하게 지키면서도 만족스러운 수익을 확보하는 것이다. 그렇지 않다면 투기다."라고 하였습니다.

 

시장이 붕괴되어 가장 매력적인 가격이 되었을 때는 오히려 주식을 투기적이라고 위험하게 인식하고, 반대로 시장이 상승해서 위험한 수준이 되었을 때는 실제로 투기를 하면서도 투자라고 착각합니다. 

제 개인적으로는 증권사에 돈을 빌리는 신용매수는 모두 투기이며, 2년 내 사용해야 할 사용처가 있는 돈으로 주식 매매를 하는 것은 모두 투기라고 생각합니다.  

 

아니 언제 투자하는 것이 좋냐고 하는데 왜 딴소리야 라고 하실 수 있겠는데요. 

 

저와 같은 가치 투자자는 가격과 가치의 괴리에 투자합니다. 쉽게 설명하면 내가 동업할 회사는 반듯이 가격이 싸야 하고, 내재가치는 높은 회사여야 합니다. 이것은 매우 중요합니다. 이런 회사를 찾아내고 발굴해야 합니다.  

 

물론 발바닥에서 사서 상투에서 팔고 싶은 마음은 다 동일하겠지만 마켓 타이밍을 잡는 것은 전문가들도 쉽지 않은 일입니다. 그런데 주식 초보가 마켓 타이밍을 잡아서 돈을 벌 수 있을까요? 초심자의 행운으로 몇 번은 가능할 겁니다. 

하지만 지속적으로는 불가능할 것입니다. 주식 투자자의 5% 남짓 돈을 번다고 하니까요. 여러분이 기관 외국인 모두 이기고 몇십 년간 주식 투자한 사람들 다 이기고 주식으로 수익을 낼 수 있을까요? 

 

저는 주식으로 돈 버는 것 가능하다고 생각합니다. 하지만 투기로는 불가능하며 주식 투자자가 되어야 합니다. 즉, 돈이 일을 하게 만들고, 돈이 돈을 버는 것은 주식 투자라고 생각합니다. 

시장의 고점이나 저점이라고 판단하시더라도 성급하게 매매해서는 안됩니다. 오히려 이럴 때 자신만의 고유한 투자 원칙이나 규칙을 갖고 있고 이를 실행에 옮길 수 있는 의지가 필요합니다.

 

중요하니까 다시 설명드립니다.

투기하는 분들은 주가 흐름을 예측해서 돈을 버는 방식이고, 투자자는 기업의 가치를 평가하여 저평가된 기업의 동업자가 되는 것입니다. 

 

그럼 언제 사고, 언제 팔아야 할까요? 기업의 가치가 저평가 단계에서는 사고, 고평가 된 단계에서는 팔아야 합니다. 

 

다음에는 기업의 가치 평가에 대해서 공부해 보겠습니다.

금융 문맹에서 벗어나 누구나 잘 사는 세상이 될 때까지...